추천 마의 정의, 마의 모든효능, 마의 부작용 어떨까요.
출근하면 부장님께서 사모님이 아침마다 마를 갈아서 챙겨주신다고 자랑을 합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마를 별로 좋아하지 않는데, 마가 좋긴 좋은지 주변에 마를 드시는 분이 참 많네요. 그래서 오늘은 마는 무엇이고, 마는 어디에 좋으며, 마의 부작용이나 조심해야할점은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마의 정의.
마는 다년생 덩굴식물이며, 속씨식물 백합목에 해당되고, 중국, 일본, 대한민국, 대만에서 주로 자라납니다. 주생산지는 원래 중국이며, 신약, 산우라고도 명명 됩니다. 마의 종류마다 외관이 다르게 생겼으며, 긴것도 있고, 덩어리모양 등으로 나뉘어 집니다.
2. 마의 효능.
마는 산에서 자라는 약으로서 산약, 바다에 장어가 있다면 산에는 마가 있다라고 불릴정도로 기력회복에 좋은 음식입니다.
(1) 마는 당뇨병에 좋습니다.
마속에 들어있는 디아스타제 성분이 인슐린이 생성되는것을 활성화 시켜줌으로서 당뇨병을 방지하고 고치는데 좋은 효과를 보입니다.
(2) 마는 혈관성 질병을 예방해줍니다.
마속에는 사포닌성분이 다량으로 들어있는데, 이는 혈관속에 중성지방이 축적되는것을 방지해주고, 콜레스테롤을 내려주어 여러가지 혈관성질병을 막아주는데 좋다고 합니다.
(3) 마는 장에 좋습니다.
마는 대장암을 유발시키는 세균을 제거하고 오히려 대장에 좋은 균들을 증가시켜줍니다. 게다가 마속에 많이 들어있는 소화효소들은 체내 소화기능을 강화시켜줍니다.
(4) 마는 기력회복에 탁월합니다.
마속에 다량으로 들어있는 아르기닌 성분이 심신을 튼튼하게 하는 역할을 하며, 뮤신 성분도 평소 체력이 약한사람의 체력을 증가시켜 줍니다. 게다가 남자들의 스태미너를 강화하는데도 아주 좋다고 합니다.
(5) 마는 변비를 없애줍니다.
마는 다른 어떠한 채소들 보다 식이섬유가 많이 들어있기에, 변비를 없애는데 좋고, 장에 있는 불순물들을 체외로 방출시켜 줍니다.
(6) 마는 기억력 집중력을 높여줍니다.
마속에 들어있는 콜린 성분은 집중력 및 기억능력을 강화시켜주기에 공부하는 학생이나 노인분들이 먹으면 아주 좋습니다.
(7) 마는 위건강에 좋습니다.
마속에 들어있는 뮤신은 위를 감싸주는 효과가 있기에, 평소 속이쓰린경우 이를 진정시켜주고, 위산이 많이 분비되는것과 위에 궤양이 생기는 것을 막아주고 고쳐주는데 큰 역할을 합니다.
(8) 마는 폐를 튼튼하게 만들어 줍니다.
마속에 다량으로 들어있는 디아스테자와 단백질이 폐를 튼튼하게 해주고는 역할을 하기에, 담배를 오랫동안 피운사람에게 긍정적인 효과를 준다고 합니다.
3. 마의부작용 및 조심할점.
(1) 마라는 음식 자체가 냉한 기운이 있기에, 평소 몸이 차가운 분들은 섭취를 자제하는것이 좋습니다.
(2) 마를 먹었을때 졸리거나 피로감이 생기는경우에는 먹는것을 멈추는 것이 옳다고 합니다.
(3) 마속의 뮤신이 피부와 접촉되면 가려울수 있다고 합니다.
(4) 마를 과잉섭취하면 체할수 있다고 하며, 체한경우에 마를 먹으면 속이 미식거릴수 있다고 합니다.
(5) 마를 먹었을때 설사를 하는경우 한동안 먹는것을 중단하는것이 좋습니다.
4. 마무리.
지금까지 마의 정의, 마의 효능의 모든것 마의 부작용 및 조심할점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올바르게 알고 건강하게 섭취하시길 바랍니다. 이상으로 글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그밖의 건강에 좋은음식에 대해 필요하신 정보가 있다면, 아래주소를 누르시면 제 블로그내 다양한 정보를 얻으실수 있습니다.
공감버튼 클릭은 열심히 글을 작성한 글쓴이게 큰 위로와 힘이 되오니, 한번씩 꾸~욱 눌러주시길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건강 > 건강에 좋은 음식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3월,4월,5월 제철음식 취나물 효능,취나물 먹을때 주의사항 및 부작용. (0) | 2017.04.02 |
---|---|
연어효능, 연어칼로리, 연어부작용 대공개. (0) | 2017.04.01 |
추천 콜라비 효능, 콜라비 정의, 콜라비 먹는벙법 파헤쳐 보아요. (0) | 2017.03.31 |
4월 제철음식 더덕의 효능과 더덕의 부작용 알아보아요. (0) | 2017.03.29 |
3월,4월 제철음식 냉이의 효능과 냉이의 부작용 살펴보아요. (0) | 2017.03.29 |